[Blog Making] Github Pages 시작
1. 블로그 시작
코딩공부를 하면 자주 접하는 이야기 중 ‘자신의 블로그를 관리하자!’가 있습니다. 확실히 자신이 한 공부를 기록하고 나누고 피드백받고 증명하기에 좋은 컨텐츠라고 생각합니다.
하지만 ‘어떻게 시작하면 좋을까?’ 라던가 정신이 없다는 이유로 미루다보니 다시 정리하려한 노트의 스노우볼이 부채처럼 느껴지고 더 시작하기 힘들었습니다.
특히 최근부터 일일커밋 습관에 대한 영상에 감명을 받아 실천하다보니 스노우볼이 구르는 속도가 더 붙었죠.
그러나 코드 주석에 노트 다는 등의 방식에도 한계를 느끼고 자기개발 효율 측면에서도 역시 블로그 관리가 필요하다고 느꼈습니다. 또 제 글이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공부를 하면서 여러 블로그에 도움을 받았으니 저 또한 조금이나마 환원할 수 있게 노력해야겠죠.
일일커밋 시작과 함께 습관을 바꾸면서 초조할 때마다
작지만 꾸준히, (苟日新) 日日新 又日新을 되뇌이고 있습니다.
블로그 공부도 작지만 꾸준히 시작하겠습니다.
2. 왜 Github Pages?
블로그 플랫폼으로 무엇을 할까 고민에 가장 먼저 떠오른건 아래 네가지 였습니다
* 네이버
* 티스토리
* velog
* Github Pages
사실 ‘개발블로그’에서 가장 주목 받는건 개인적으로 봤을 때 Github의 정적 웹사이트 호스팅 서비스인 Github Pages를 사용한 블로그인 것 같습니다. 하지만 처음 시작하기엔 조금 난이도가 있어보였죠.
그래도 제가 블로그에서 추구하는 다음 몇가지를 추려본 결과 공부도 할겸 Github Pages로 하자!로 결정하게 되었습니다.
1. 주목적이 노트정리이므로 데이터 백업이 원활해야 함
2. 자연스레 markdown 형식도 익숙해지고 싶음
3. 조금씩 실력이 생기면 커스터마이징을 해나가고 싶음
3. Minimal Mistakes 테마로 블로그 시작!
새로운 시작에 두근두근하며 여러 jekyll 테마를 둘러본 뒤 결국
Minimal Mistakes를 선택하게 되었습니다.
조금 둘러봤는데 확연히 느낄 정도로 친절함+세세함+업데이트+피드백이 잘되는 테마입니다. 괜히 탑급의 인기가 이니네요. 덕분에 자료도 많습니다.
블로그 첫 포스팅 주제로는 블로그 개발 과정을 조금씩 정리하며 올릴려고 합니다. 주로 참고로 한 블로그는 다음과 같습니다. 잘 정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.
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 앞으로 잘부탁드립니다.^^
개인 공부용 블로그입니다.
잘못된 부분에 언제든지 댓글이나 메일로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
Leave a comment